본문으로 바로가기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1302

 

코딩테스트 연습 - 거리두기 확인하기

[["POOOP", "OXXOX", "OPXPX", "OOXOX", "POXXP"], ["POOPX", "OXPXP", "PXXXO", "OXXXO", "OOOPP"], ["PXOPX", "OXOXP", "OXPOX", "OXXOP", "PXPOX"], ["OOOXX", "XOOOX", "OOOXX", "OXOOX", "OOOOO"], ["PXPXP", "XPXPX", "PXPXP", "XPXPX", "PXPXP"]] [1, 0, 1, 1, 1]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개발자를 희망하는 죠르디가 카카오에 면접을 보러 왔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 응시자들은 거리를 둬서 대기를 해야하는데 개발 직군 면접인 만큼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대기실에 거리를 두고 앉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 대기실은 5개이며, 각 대기실은 5x5 크기입니다.
  • 거리두기를 위하여 응시자들 끼리는 맨해튼 거리가 2 이하로 앉지 말아 주세요.
  • 단 응시자가 앉아있는 자리 사이가 파티션으로 막혀 있을 경우에는 허용합니다.
더보기

맨해튼 거리: 두 테이블 T1, T2가 행렬 (r1, c1), (r2, c2)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면, T1, T2 사이의 맨해튼 거리는 |r1 - r2| + |c1 - c2| 입니다. 

예를 들어, 

5개의 대기실을 본 죠르디는 각 대기실에서 응시자들이 거리두기를 잘 기키고 있는지 알고 싶어졌습니다. 자리에 앉아있는 응시자들의 정보와 대기실 구조를 대기실별로 담은 2차원 문자열 배열 pla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각 대기실별로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으면 1을, 한 명이라도 지키지 않고 있으면 0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places의 행 길이(대기실 개수) = 5
    • places의 각 행은 하나의 대기실 구조를 나타냅니다.
  • places의 열 길이(대기실 세로 길이) = 5
  • places의 원소는 P,O,X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 places 원소의 길이(대기실 가로 길이) = 5
    • P는 응시자가 앉아있는 자리를 의미합니다.
    • O는 빈 테이블을 의미합니다.
    • X는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 입력으로 주어지는 5개 대기실의 크기는 모두 5x5 입니다.
  • return 값 형식
    • 1차원 정수 배열에 5개의 원소를 담아서 return 합니다.
    • places에 담겨 있는 5개 대기실의 순서대로, 거리두기 준수 여부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습니다.
    • 각 대기실 별로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으면 1을, 한 명이라도 지키지 않고 있으면 0을 담습니다.

  

입출력 예

places = [["POOOP", "OXXOX", "OPXPX", "OOXOX", "POXXP"], ["POOPX", "OXPXP", "PXXXO", "OXXXO", "OOOPP"], ["PXOPX", "OXOXP", "OXPOX", "OXXOP", "PXPOX"], ["OOOXX", "XOOOX", "OOOXX", "OXOOX", "OOOOO"], ["PXPXP", "XPXPX", "PXPXP", "XPXPX", "PXPXP"]]

  

result = [1, 0, 1, 1, 1]

  

  

풀이

각 대기실마다 응시자가 앉아 있는 자리(P)를 찾으면, 해당 자리에서 거리가 1이거나 2 떨어진 위치에서 거리두기를 지켰는지 확인한다. 대기실 행이 5개로 고정되어 있고 각 대기실의 크기도 정해져있어 완전탐색을 이용하여 풀었다.

  

  • 각 대기실을 모두 탐색하여 응시자가 앉아 있는 자리인 "P"가 나올 때마다 해당 위치에서 거리두기를 지켰는지 확인한다.

이때 거리 두기를 지켰는지 확인하는 함수는 direction으로 거리두기를 지켰다면 True를, 지키지 않았다면 False를 반환한다. 그래서 "P"가 나온 자리에서 거리두기를 지키지 않았다면 0을 반환하면서 함수를 종료한다.

def solve(place):
    for i in range(5):
        for j in range(5):
            if place[i][j] == "P" and not direction(i, j, place):
                return 0

    return 1

    

  • 거리두기를 지켰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좌표에서 거리가 1이나 2 떨어진 위치에 P가 없어야한다.

거리가 1 떨어진 곳은 좌표에서 상하좌우를 살펴보면 된다. 거리가 2인 좌표는 결국 거리가 1 떨어진 위치에서 다시 상하좌우를 살펴보면 좌표에서 거리가 2 떨어진 곳이다. 

- 상하좌우를 살펴보다가 "X"가 나온다면 즉시 해당 탐색을 넘어가고, "P"가 나온다면 False를 리턴하면서 함수를 종료한다.

- 상하좌우를 탐색할 때 해당 좌표가 0보다 작거나 5보다 커지면 인덱스 에러가 나오므로 범위를 체크해준다(isRange 함수).

- 거리가 1떨어진 곳에서 상하좌우를 탐색할 때, 다시 처음 좌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0, 0) -> (1, 0) -> (0, 0)과 같이.. 이를 위해 2 떨어진 곳을 탐색할 때는 처음 위치가 아닐 때만 진행한다.

dy = [-1, 1, 0, 0]
dx = [0, 0, 1, -1]


def isRange(y, x):
    return 0 <= x < 5 and 0 <= y < 5

def direction2(y, x,  place): # 2중 for문: 4방향씩 탐색하면서, P가 탐색되면 False를 리턴한다.
    for i in range(4): # 거리 1
        newY1 = y + dy[i] 
        newX1 = x + dx[i]
        if isRange(newY1, newX1):
            if place[newY1][newX1] == "X":
                continue
            if place[newY1][newX1] == "P":
                return False
            for j in range(4): # 거리 2
                newY2 = newY1 + dy[j]
                newX2 = newX1 + dx[j]
                if isRange(newY2, newX2) and not (y == newY2 and x == newX2):
                    if place[newY2][newX2] == "X":
                        continue
                    if place[newY2][newX2] == "P":
                        return False
    return True

  
 위 코드는 이중포문이지만 반복문 구조가 동일하다. 코드가 너무 지저분해 보였고.... 재귀를 이용하면 코드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다. 재귀를 이용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def direction(Y, X, y, x, place, depth): # 재귀: 4방향씩 탐색하면서, P가 탐색되면 False를 리턴한다.
    if depth > 2:
        return True
    for i in range(4):
        newY1 = y + dy[i]
        newX1 = x + dx[i]
        if isRange(newY1, newX1) and not (newY1 == Y and newX1 == X):
            if place[newY1][newX1] == "X":
                continue
            if place[newY1][newX1] == "P":
                return False
            if not direction(Y, X, newY1, newX1, place, depth + 1):
                return False
    return True

거리가 2까지만 탐색해야하므로 depth을 이용하여 2보다 깊어지면 함수를 종료하도록 하였다. 

  

전체코드

dy = [-1, 1, 0, 0]
dx = [0, 0, 1, -1]

def isRange(y, x):
    return 0 <= x < 5 and 0 <= y < 5


def direction(Y, X, y, x, place, depth): # 재귀: 4방향씩 탐색하면서, P가 탐색되면 False를 리턴한다.
    if depth > 2:
        return True
    for i in range(4):
        newY1 = y + dy[i]
        newX1 = x + dx[i]
        if isRange(newY1, newX1) and not (newY1 == Y and newX1 == X):
            if place[newY1][newX1] == "X":
                continue
            if place[newY1][newX1] == "P":
                return False
            if not direction(Y, X, newY1, newX1, place, depth + 1):
                return False
    return True


def solve(place):
    for i in range(5):
        for j in range(5):
            if place[i][j] == "P" and not direction(i, j, i, j, place, 1):
                return 0

    return 1


def solution(places):
    res = [0, 0, 0, 0, 0]

    for i in range(5):
        res[i] = solve(places[i])

    return res


places = [
    ["POOOP", "OXXOX", "OPXPX", "OOXOX", "POXXP"],
    ["POOPX", "OXPXP", "PXXXO", "OXXXO", "OOOPP"],
    ["PXOPX", "OXOXP", "OXPOX", "OXXOP", "PXPOX"],
    ["OOOXX", "XOOOX", "OOOXX", "OXOOX", "OOOOO"],
    ["PXPXP", "XPXPX", "PXPXP", "XPXPX", "PXPXP"]
]

print(solution(places))